Error Log5 Intelli J Q도메인 못찾는 오류 스프링 부트가 3.x 대로 올라감에 따라 Q도메인을 생성하는 법이 변경이 되었다. Gradle > build > build 를 클릭하여 생성 하거나 Gradle > other > compileJava 를 클릭하여 생성하면 된다. 하지만 버튼을 클릭하여 생성을 시도 했고 Build Success 까지 확인을 했는데 Q도메인을 찾을 수 없는 오류가 발생 하였다. 프로젝트의 경로 속 build 된 class파일에는 Q 도메인이 생성이 되었지만 Intelli J 상에서는 찾을 수 없었다. clean 후 다시 build 를 해보고 Intelli J 에 캐시를 삭제해보고 재시작을 해봐도 여전히 찾을 수 없었다. 그래서 Intelli J 상 Q도메인이 존재하는 generated에 들어가 도메인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.. 2023. 9. 15. Translation Error History 개요 Front End 에서 만든 GIMS 를 확인하는 도중, 15개씩 페이징이 되어야 하는데 마지막 페이지와 7페이지만 데이터의 숫자가 다른 걸 확인 KR,EN 의 다국어를 업로드 했는데 데이터의 숫자가 홀수로 확인 원인 1. 데이터 업로드 시 문제 기존 코드는 데이터를 파싱하여 Key 값을 기준으로 반복문이 돌며 Insert를 진행한다. 그러나 KR의 Value는 있지만 EN의 Value가 없는 경우 , 데이터가 EN 의 데이터가 들어가지 않아 데이터를 불러 올 시 페이징 처리 및 중간에 데이터가 꼬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. 기존 코드 public ResponseResult createTranslations(TranslationsUploadRequest translationsUploadRequest.. 2023. 8. 22. [Test Code] 단일 메서드 실행은 성공 이지만 Test Class로 전체 메서드 실행 시 실패하는 에러 Repository Test를 진행하던 중 발생 단일 Test Method 를 실행했을 때는 문제가 없지만 Test Class로 전체 Method를 실행했을 때 검증 단계에서 실패하는 에러 단일 Test Method 실행 Test Class 로 전체 Method 실행 실패 에러 → 설정한 결과 값은 2 이지만 실제 결과는 0 이 나왔다. detailTest() @Test void detailTest() throws Exception { //when List authGroupMenuResponses = authGroupRepository.selectAuthGroupMenuResponseList(1L); //then assertThat(authGroupMenuResponses.size()).isEqualTo.. 2023. 2. 2. org.springframework.dao.DataIntegrityViolationException [Test Code] 데이터 무결성 Error Repository Test 를 진행하던 중 발생했다. Delete 기능에 대한 테스트중 에러가 발생했는데 Delete Test 메서드는 @Test public void deleteTest() throws Exception{ //when menuAuthRepository.deleteAll(); platformCodeRepository.deleteAll(); authGroupRepository.deleteAll(); authGroupDetailRepository.deleteAll(); List authGroupList = authGroupRepository.findAll(); //then assertThat(authGroupList.size()).isEqual.. 2023. 2. 2. 이전 1 2 다음